본문 바로가기
건강

집에서 혈압을 올바르게 측정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by 궁금하면못참지 2023. 3. 14.
반응형

혈압측정

평소 혈압이 높거나 이미 고혈압이나 저혈압의 진단을 받았다면 매일 집에서 추적관리하는것이 정말 중요합니다.

집에서 혈압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

자신이 혈압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미 알겠지만 혈압은 측정할때마다 계속해서 수치가 변합니다.

매초, 매분, 매시간 즉 24시간동안 계속해서 변하기 때문에 나의 평균 혈압을 알기위해서는 동일한 환경과 동일한 시간대에 혈압을 측정하는것이 평균값을 가장 정확하게 낼수 있습니다.

보통 동사무소나 병원에 배치되어 있는 혈압기의 경우는 평소의 혈압보다 10~20정도 낮게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또한 평소에는 괜찮다가도 병원에서만 재면 혈압이 높게 측정되면 `병원성 고혈압`의 경우도 상당히 많기 때문에 편한 환경이 제공되는 집에서 안정된 혈압을 측정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집에서 혈압을 올바르게 측정하는 방법

단순히 집에서 혈압을 측정한다고 해서 끝나는것이 아니라 혈압을 측정할때 올바른 방법으로 측정을 해야 자신의 정확한 혈압을 측정할수 있습니다.

혈압을 측정하기에 앞서 조치해야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혈압 측정 전 소변을 봐서 방광을 비웁니다.
  2. 혈압 측정 전 최소 5분의 시간을 휴식과 편안함 마음을 가집니다.
  3. 혈압 측정 30분 전에는 담배나 음주, 커피등을 금해야 합니다.
  4. 혈압 측정 후 2분~3분의 간격으로 2번 더 측정합니다.
  5. 왼팔 오른팔을 모두 측정후 높게 나온 팔을 다시 한번 측정합니다.

이렇게 혈압을 측정하기 전과 후에 조치해야 할 방법을 숙지했다면 이제는 혈압을 잴때 가장 중요한 올바른 자세에 대해서 알아볼 차례입니다.

혈압을 올바르게 측정하는 자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등받이가 있는 의자에 등을 기대고 똑바로 앉습니다.
  2. 측정하는 팔의 높이를 심장 높이와 비슷한 위치에 놓습니다. 탁자의 높이가 낮을 경우에는 팔에 휴지나 책을 받쳐 높이를 조절하는것이 좋습니다.
  3. 다리는 꼬지 말고 두 발이 평평하게 바닥에 닿도록 위치팝니다.
  4. 팔은 일자로 펴지말고 편하게 구부려서 힘을 뺍니다.

혈압을 측정하는 시간

집에서 혈압을 측정하는 시간은 어느때고 상관없지만 대도록이면 매일 동일한 시간대에 혈압을 측정하는것이 좋으며 식전에 측정하는것이 좋습니다.

보통의 경우 아침이나 자기전 시간을 정하여 측정하는 경우가 많으며 아침과 저녁시간에 따라 측정하는 방법이 조금 달라질수 있습니다.

  1. 아침에 측정 할 경우 : 아침에 혈압을 측정한다면 일어난뒤 소변을 보고 5분정도가 지난 다음에 혈압을 측정하는것이 좋으며 이때는 혈압약을 복용하기 전에 하는것이 좋습니다.
  2. 저녁에 측정 할 경우 : 저녁 식사를 마쳤다면 1시간 이후로 측정하는것이 좋으며 취침직전 5분전에 측정한다면 보다 정확한 혈압을 얻을수 있습니다. 아침혈압이 저녁혈압보다는 보통 높게 나오는 특징이 있습니다.

주의사항

편한환경인 집에서 혈압을 측정할 경우에도 긴장 때문에 혈압이 평소보다 높게 나올수가 있습니다.

이때 주의 할 점이 가정에서 측정하다 보니 횟수에 상관없이 계속해서 혈압을 측정할수 있는데, 이럴경우에는 측정횟수가 올라가면 갈수록 혈압이 점점 더 높게 나오는 경우가 아주 많습니다.

2회정도 혈압을 측정하고 평상시보다 높게 나온다면 저녁이나 다음날 아침에 다시 측정해보는것이 좋습니다.

 

 

`고혈압` 예방법과 관리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침묵의 살인자`라 불리는 고혈압의 예방법과 관리법을 살펴보고 우리의 건강을 지킵시다. [1] `고혈압`의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참 다행스럽게도 `고혈압`은 여러 가지 합병증을 일으키고 그

perfecthealth.tistory.com

 

 

 

고혈압 환자가 알아야 하는 혈압을 낮추는 쉬운 방법

한국의 3대 성인병중의 하나인 고혈압은 주변에서 매우 쉽게 만나볼 수 있는 흔한 질환 중의 하나이다. 약을 먹으면 쉽게 관리가 가능한 질환이지만 집에서 꾸준히 혈압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lovedc.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