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대상포진 원인과 치료법

by 궁금하면못참지 2023. 3. 9.
반응형

대상포진

대상포진은 수포성 피부질환으로 바이러스성 감염으로 이러나는 질환입니다.
일단 증상이 나타나고 나면 상당한 통증과 후유증이 동반되기 때문에 조기에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상포진이란?

흔히 대상포진은 나이가 많고 면역력이 떨어지는 노령층이 많이 걸리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최근에는 과로, 스트레스, 영양부족등 여러 가지 이유로 20대의 청년층에게도 많이 나타나고 있는 질환 중의 하나입니다.

이처럼 20대의 젊은 층에게도 대상포진이 자주 나타나는 이유는 이미 우리는 몸속에는 대상포진을 유발하는 바이러스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흔히 어렸을때 앓게 되는 `수두`가 성인이 돼서 나타나면 `대상포진`이 된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어렸을 때 앓은 `수두`는 다 완치되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체내의 신경절을 따라 수두 바이러스가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극도로 취약해지면 다시 활동하는데 이것이 성인 `대상포진`의 원인이 됩니다.

대상포진의 주요 증상

대상포진이 다른 피부성질환과 다른것은 신경절을 따라 긴 띠를 형성하면서 피부발진이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여러 부위에 대상포진의 증상이 생길 수 있지만 가장 빈번하게 발생되는 곳은 허리 부근의 등으로 시작해 서서히 가슴 쪽이나 배꼽 쪽으로 긴 띠를 형성하면서 번져나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유는 등에서부터 배꼽쪽으로 가장 큰 신경절이 지나가서 그렇습니다.

 

대상포진은 통증은 극도로 심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는 사람마다 조금씩 다른 경우가 있으며 처음 대상포진의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벌레에 물린 것처럼 가려운 증상을 동반하기 때문에 대상포진인지 모르고 미처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처음에 벌레에 물린것처럼 붉은 발진이 일어나지만 점점 증상이 악화됨에 따라 수포가 생기기 시작하고 이때부터는 불에 타는듯한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더 악화되면 수포가 터지면서 딱지가 되며 잘 지워지지 않는 흉터를 남기게 됩니다.

 

가장 좋지 않은 부위는 얼굴 부위에 눈 부위로 빠른 치료가 시작되지 않은 얼국에 큰 흉터자국을 남길수도 있으며 눈 부위같은 경우에는 심한경우 시력을 완전히 상실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얼굴쪽에 붉은 발진이 일어나고 점점 범위가 퍼져간다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여 `대상포진`의 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대상포진의 치료

대상포진은 면역력이 약해져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익히 알려져 있어 일부 사람들은 대상포진이 왔을 때 푹 쉬면 저절로 낫는다는 위험한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이는 매우 위험한 생각으로 반드시 대상포진의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에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대상포진이 위험한 경우는 증상에 따른 통증도 통증이지만 치료가 너무 늦으면 엄청난 후유증이 남는다는것입니다.

지워지지는 않는 흉터는 물론이고 진통제를 먹지 않고서는 견딜 수 없는 신경통을 유발하기 때문에 반드시 조기에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다행히도 대상포진은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약을 꾸준히 복용하고 푹 쉰다면 2주 안에 많이 호전되는 것이 보통입니다.

다만 감기처럼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낫는 질병이 아니기 때문에 약만 복용해서는 안되며 반드시 충분한 휴식과 적절한 영양보충으로 면역력을 회복시키는 일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대상포진은 발병 후에 3일 안에 병원에서 항바이러스를 투여하는 것이 치료의 효과가 가장 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의 경우 대부분 수포가 올라오는 지경에서야 병원을 내원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치료가 더디고 고통이 큰 것인데 평소에 못 보던 발진이 연고를 발라도 잘 낫지 않고 서서히 퍼져가는 증상을 보인다면 일단 병원을 방문해 `대상포진`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귀찮다고 병원의 방문을 미루다 가는 평생 극심한 고통의 신경통을 안고 살아야 할지 모를 일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