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들의 필수품이 되어 버린 커피는 이제 현대인들에게 물보다 더 익숙한 식품이 되어버렸다.
커피를 마시는 이유는 아마도 커피가 함유한 카페인의 각성효과를 기대하기 때문인데, 하루에 몇 잔정도가 괜찮을까?
하루에 마셔도 되는 커피의 양
바쁜 일상을 하는 현대인에게 있어 커피가 필수 음료가 되어버린 이유는 커피가 함유하고 있는 주요 성분인 카페인의 효과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카페인은 항산화물질로 우리의 노화를 일으키는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효과도 있지만 주된 역할을 사람을 흥분시키고 각성효과를 일으켜 피로를 잠시나마 잊게 만드는 효과가 강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적절한 카페인의 섭취는 지친 일상의 기력을 회복하는 회복제로 사용할 수 있지만 잦은 카페인의 섭취와 과잉섭취는 건강에 치명적인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한잔의 커피에 함유되어 있는 카페인을 계산하는 방법은 원두가 얼마만큼 들어갔는지와 양에 따라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정확히 측정하기는 어렵다고 한다.
하지만 편의점이나 마트에서 파는 작은 캔커피를 기준으로 하면 300ml당 70~150 정도의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준다.
커피전문점에서 파는 커피에도 어느 정도 차이는 있지만 대략 한잔에 75~200 정도의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섭취량을 계산하면 된다.
성인 기준 하루 카페인 섭취량의 기준은 남녀동일하게 400 이하이며 임산부와 같은 특수한 경우에는 300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아직 성인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어린이나 학생들의 경우에는 1kg의 체중당 2.5의 카페인을 허용하고 있는데 가급적이면 어린이들은 커피를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많은 연구진들도 커피를 습관적으로 마시는 것이 아니라면 하루에 400 이하의 카페인을 섭취하는 것이 건강에 가장 좋다고 알려져 있다.
만약 믹스커피와 같은 종이컵의 커피를 즐긴다면 하루에 2잔 정도가 정당하니 참고하도록 하자.
커피를 보다 잘 마시는 방법
각성효과가 있는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를 마시더라도 잠을 잘 사는 사람이 있는 반면, 밤새 잠을 설치는 사람도 있기 마련이다.
만약 본인이 카페인에 대한 반응이 너무 민감해서 커피를 즐기지 못하는 사람이라면 카페인을 제거한 디카페인 커피를 고려해 볼 수 있다.
디카페인이 커피라 할지라도 커피가 가지고 있는 좋은 성분들을 모두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카페인의 부담을 덜면서도 커피의 향을 온전히 즐길 수 있는 것이 매력이다.
또한 커피를 위장을 자극하는 효과가 있어서 위가 민감하거나 약한 사람은 피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커피를 마실 때는 빈속에 마시는 것보다는 위에 음식물이 어느 정도 차 있는 것이 위장의 자극을 줄이는데 좋다.
카페인의 성분이 위점막을 자극하기 때문인데, 그래도 커피를 아침의 공복에 마시고 싶은 사람은 우유를 보다 많이 넣어 라테를 만들어 먹는 것이 조금이나마 위를 덜 자극시키는데 유리하다.
본인이 고혈압과, 당뇨 등을 앓고 있어 혈압과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입장이라면 각종 첨가물이 들어간 라테 종류보다는 순수한 아메리카노를 먹는 것이 좋다.
라테는 생각보다 당분이 엄청나게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혈압과 혈당을 올리는 주요 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고혈압 환자가 커피를 마셔도 될까요?
바쁜 일상을 사는 현대인들에게 꼭 필요한 필수 음료는 커피는 전 세계적으로 녹차, 홍차와 더불어 가장 사랑받는 음료로 알려져 있다. 특히 매일이 지옥같은 치열한 삶을 살아가는 한국에서는
lovedc.tistory.com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침에 마시는 모닝커피의 부작용과 단점 (0) | 2023.05.15 |
---|---|
디카페인 커피는 아무런 문제와 단점이 없을까? (0) | 2023.05.12 |
노란 콧물이 나오면 축농증일 가능성이 높다. (0) | 2023.05.08 |
찬바람이 부는 환절기 및 겨울철에 콧물 멈추는 방법 정리해보았다. (0) | 2023.05.05 |
고혈압 환자가 커피를 마셔도 될까요? (0) | 2023.05.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