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고혈압 및 혈관질환이 있다면 겨울철이 특히 위험한 이유

by 궁금하면못참지 2023. 8. 11.
반응형

1년에 반드시 맞이하게 되는 겨울은 특히 고협압과 같은 혈관질환이 있는 사람들에게 위험한 계절로 잘 알려져 있다.

날씨가 추우면 몸이 움츠러드는것처럼 우리 몸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도 수축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혈관에 많은 부담을 주기 때문이다.

고혈압을 앓고 있다면 겨울철에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

고혈압은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만나볼수 있는 혈관질환으로 40대인 필자로 앓고있을 정도로 매우 흔한 질병중의 하나이다.

보통 약만 먹으면 쉽게 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가볍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혈관질환은 순간의 방심으로 생사를 오고가는 심각한 질환이기 때문에 늘상 관리가 필요한 질환이다.

특히 기온이 급격히 내려가는 겨울철이 되면 혈관질환 환자들은 많은 주의가 필요한데 잘 알려진 고혈압을 비롯하여 심근경색, 뇌졸증, 폐색전증, 심부전증등의 증상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그렇다면 왜 겨울철에 혈관질환이 많이 발생하는 것일까?

대부분의 경우 우리의 혈압은 날이 더운 여름철에 하락했다가 추워지는 겨울이 되면 다시 상승하는 형태를 띈다.

혈압에 관련한 연구자료가 워낙에 방대하다보니 조금씩 그 연구결과에 차이가 있긴 하지만 대부분 온도가 1도 내려갈때 마다 심혈관질환으로 사망하는 사망자의 수가 비례하여 증가하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나 대체로 혈관의 상태가 좋지않은 노인들의 경우에 겨울에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할 확률이 비약적으로 증가한다.

날씨가 추워지게 되면 우리의 몸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혈관을 수축시키고 교감신경을 흥분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는데, 이 영향으로 인해 맥박이 평소보다 더욱 빠르게 뛰게하여 혈압을 상승시킨다.

빠르게 상승한 혈압은 혈중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높이고 이는 다시 심장과 혈관에 부담을 주는 형태로 죽음의 소용돌이가 만들어진다.

 

또한 기온이 낮은 경우에는 평소보다 혈액의 점성이 증가하여 혈전이 더 잘생기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뇌졸증이나 심부정맥과 같은 치명적인 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로 인해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을 않고 있다면 겨울뿐만 아니라 날씨가 갑자기 추워지는 환절기에 에도 큰 주의가 필요하다.

겨울철의 혈압관리

날씨가 추워진다고 해서 마냥 겁먹고 집에만 있으면 오히려 증상을 더욱 악화시킬 뿐이다.

겨울철에도 꾸준한 활동력과 운동을 겸비해서 일정한 에너지를 소모하는것이 좋다.

꾸준한 운동은 체내의 염증수치를 크게 낮춰주는 역활을 하고 혈관을 이완시켜 혈액순환을 좋게 만들어 혈압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날씨가 너무 춥다면 실내에서도 가벼운 운동을 할수 있지만 조건이 허락한다면 가급적 맑은 공기를 하시며 실외에서 운동을 하는것이 심신 모두에게 좋은 영향을 미친다.

 

그렇다면 운동시간은 언제가 좋을까?

일교차가 심한 아침보다는 햇빛이 따스롭게 비치는 오후시간을 운동시간으로 정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운동하기 전에는 가볍게 스트레칭으로 몸의 근육을 이완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제대로 된 스트레칭은 그 자체로도 큰 운동이 되기 때문에 최소 15분~20분정도 스트레칭을 해주는것이 좋다.

 

음식의 선택도 중요하다.

가급적 인스턴트음식이나 튀긴음식을 먹지않고 가정식으로 식단을 꾸리는것이 좋다.

특히 백미보다는 잡곡으로 오래 꼭꼭씹어 먹는다면 식단으로도 혈압을 관리하는 효과가 있다.

비타민 C와 B를 충분히 섭취를 해주는것이 좋으며 가장 쉽게 섭취할수 있는 식품은 유제품이니 참고하는것이 좋다.

 

 

고혈압 환자가 알아야 하는 혈압을 낮추는 쉬운 방법

한국의 3대 성인병중의 하나인 고혈압은 주변에서 매우 쉽게 만나볼 수 있는 흔한 질환 중의 하나이다. 약을 먹으면 쉽게 관리가 가능한 질환이지만 집에서 꾸준히 혈압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lovedc.tistory.com

 

 

고혈압에 좋은 음식 과일 채소 견과류를 알아봅시다.

대한민국 40대 남성이라면 결코 자유로울 수 없는 질환인 고혈압은 유전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도 상당히 많습니다. 혈압약을 복용하고 있

lovedc.tistory.com

 

반응형

댓글